♻️Workflow
Workflow
-
연구 시작
- 연구 아이디어의 발견 및 발견된 아이디어의 협업 요청
- Inbox 에 들어온 captured idea로 진행되기 보다 임상에서 얻게 되는 경우가 다수인 듯. -
Development
- 가설 및 논문화 방향 설정을 위해서 development 양식을 사용
- Background knowledge & knowledge Gap 확인을 통해 가설 도출
- 사전논문의 Background knowledge capture는 Research Tools#Zotero 활용
- 도출된 전체 가설 중 의미를 생산하는 일부를 논문화 계획
- 가설을 실험으로 설계
- 남은 가설은 근시일 내 및 추 후 밝혀야 할 future work 로 남김
- Background knowledge & knowledge Gap 확인을 통해 가설 도출
- 가설 및 논문화 방향 설정을 위해서 development 양식을 사용
-
실험 & 결과 도출
- Data analysis : OBJ development 템플릿 사용, } 에서 '📊' 확인 (추 후 많아지면 template로 할당)
- 연구환경, 코드, 변수, 통계 등을 구체화 후 result 도출
- Result 도출 후 코드, 결과, process works들을 원드라이브에 정리
- 추 후 NAS 이전 및 클라우드는 백업 용도로 사용 고려
- Data analysis : OBJ development 템플릿 사용, } 에서 '📊' 확인 (추 후 많아지면 template로 할당)
-
논문작성
- Documentation은 obsidian manuscript / gingko 활용
- name - draft 로 작성
- 투고되면
- name - manuscript로 바꾸거나, word로 내보냈으면 name-draft-O 로 변경
- obsidian 에서 word 등으로 export 는 pandoc 설치 및 사용
pandoc "C:\Users\medib\OneDrive\Obsidian\Inbox\name.md" --bibliography "C:\Users\medib\OneDrive\Obsidian\Utility\my ibrary.json" --citeproc --csl C:\Users\medib\OneDrive\Obsidian\Utility\ama11th" -o "C:\Users\medib\OneDrive\Obsidian\Z"
- reference에서 knowledge capture : Zotero
- zotero tag taxonomy : task / project 기준의 분류체계, PDF highlighting
- 옵시디언과 사용: betterBibtex -> zotero intergration -> markDBconnect
- Template : Zotero Paper
- @ Bryan은 mdnote workflow 사용 중
- refs in core ref : 핵심논문의 참조논문을 인용하는 방법
- Documentation은 obsidian manuscript / gingko 활용
-
@ Bianca의 workflow 예시:
-
협업
- 회의 협업: 이메일과 Zoom
- 공유 폴더: PRML lab은 AWD, 병원의국은 GoogleDrive
- 공유 파일: 현재는 Word (추 후 obsidian pdf output or gingko word output 등으로 세부 최적화)
-
연구자동화
- 머메이드/엑스칼리드로우
bryan의 방법 포크해 왔는데, 아직 사용방법 모름..추 후 디벨롭
!2021-10-24 14-25-12.excalidr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