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keys
Title:
⌨️HotkeysFormation Date:
2023-02-01
phis
- 외래
- 대기순번 + tab + space : 대기순번대로 조회
Obsidian
기본
- Ctrl + - or(=) : 글자크기 조절
- Ctrl 누르고 마우스로 폴더 가르킴 - 팝업창으로 내용확인
- Shift + (Ctrl) + - or( = ) : 기본적으로 접기 / 열기 지만 gingko style 로 논문을 작성할 때 및 template에서 필요없는 내용을 지울 때 활용(==outline에서 지울 heading 선택 -> 접기 -> heading 전체선택 + end 키로 모두 선택실행하고 지우기 ==)
- crtl + o : travel to another note
- ctrl + V : paste link in clipboard
- ctrl + + : emoji
- ctrl + R : 찾아바꾸기
F2
to start renaming the focused file.Space
to open the focused file.- \ : 마크다운 문법기호를 일반 문자로 인식시키기**
링크
- ![[]] : 문서내 링크내용 노출
- ![[image.png]] : 이미지 링크
콜아웃
-
: abstract(summary, tldr), Todo, info, Tip(hint, important), Success(check, done), Question, Warning(caution, attention), Failure(fail, missing), Danger(Error), Bug, Example, Quote(cite)
- ']' 바로 뒤에 + 혹은 - : 콜아웃 접기
> [!tip] Title-only callout
> [!question]- Can callouts be nested?
> > [!todo] Yes!, they can.
> > > [!example] You can even use multiple layers of nesting.
Plug-in
- advanced table
- tab : 마지막 셀에서 열 추가 / 내용있으면 다음 셀 이동 (이전 cell: Shift + tab )
- Alt + 화살표 : 생성 없이 cell 이동
- pandoc output to ppt
- /# 가운데 정렬, 제목 셀로 삽입 됨
- /### 볼드, 왼쪽 정렬, 내용 셀 상단에 삽입 됨
- [Art] + E : templator
Microsoft (🍎Apple)
Window (🍎IOS)
- win + SPACE : 입력기 전환 (한영전환 안될때)
- win + b : 알림영역
- win + a : 제어
- win + n : 알림
- win + z : 창조절
- win + t : 작업표시
- win + , : 누르는동안 바탕화면 표시
- win + Shift + 화살표: 한번에 모니터 끼리 이동
- win + shift + t : 텍스트추출 (power toys)
- win + Ctrl + v : 사운드출력변경
- 🍎 command + ↑ + 3 / 4 / 4+space : 전체 / 선택 / 창 캡쳐
- 🍎 ^ + command + space : 특수문자
- 🍎 ^ + command + A : Todoist 실행
- 🍎 fn + del : 뒷글자 지우기
- 🍎 Ctrl + cmd + f : 전체화면
Windows Explorer (🍎Finder)
-
win + e : 탐색기열기 (🍎Opt + Cmd + Space)
-
🍎 Opt + Cmd + g : 폴더로 이동
-
최근 작업파일 우클릭 + i : 파일의 경로로 이동 (Win10)
-
Ctrl + Shift + n : 새폴더 생성
-
F2 : 이름바꾸기
- Tab 하면 이동
-
F4 : 주소창 목록보기
- Alt + Shift + d : 주소창으로 포커스
- Alt + f + numkeys : ==자주가는 폴더 ==
-
Alt + p : 내용 미리보기
-
Alt + Enter : 파일 속성 표시
-
🍎 shift-command-K: 네트워크 윈도우를 엽니다.(webdav 열기)
-
🍎 opt-cmd-L: 다운로드 폴더를 엽니다.
-
🍎 shift-command-N: 새 폴더를 생성합니다.
-
네트워크 컴퓨터 CMD로 접근
- 네트워크 자격증명 (win + R 로 접근하면서 입력)
- cmd 실행 : pushd \\ip주소\이후경로
- dir명령어
- dir /Q 현재 파일의 소유자를 알아본다.
- dir /s 해당 디렉토리의 내용과 하위 디렉토리들의 내용을 보여준다.
- dir /o 파일 목록을 메타데이터와 함께 정렬하여 보여준다.
- dir /b 한 행에 하나의 파일명만 보여줌
- dir/o/b : 정렬해서 하나의 파일명만 보여줌 - dir /L 소문자 사용
- dir명령어
Edge (🍎Safari)
- F6 : 주소창 혹은 툴바로 포커스 전환 (북마크바로 이동할때 3번 클릭)
- Alt + D : 주소창으로 바로 이동 (🍎command + L)
- Shift + Alt + t : 툴바의 첫 번째 항목에 포커스 설정
- F10 : 툴바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항목(창옵션)에 포커스 설정
- F12 + Ctrl + Shift + M : 모바일모드 보기
- alt + HOME : HOME 페이지 열기
- 🍎 ^ + option + 2 : 읽기목록
- 🍎option + command + 숫자 : 즐겨찾기 바로 실행
Windows 실행키
- 시스템 도구
- devmgmt.msc : 장치관리자
- 제어판
- desk.cpl: 디스플레이설정
- main.cpl: 마우스 설정
- ms-settings:bluetooth : 블루투스설정
- 프로그램
- notepad
- mspaint : 그림판
- taskmgr : 작업관리자
- 기타
- shell:startup : 시작프로그램 설정
- cmd: 명령 프롬프트
Word
- 스타일
- 사전준비로 표준 / 제목 1 / 제목 2 에 본문 / 헤딩 / 서브헤딩을 매치시킴
- 홈 -> 해당 스타일에서 선택영역과 일치하도록 업데이트
- Ctrl + Shift + N : 표준
- Ctrl + Alt + 1 : 제목 1 (heading)
- Ctrl + Alt + 2 : 제목 2 (subheading)
- 사전준비로 표준 / 제목 1 / 제목 2 에 본문 / 헤딩 / 서브헤딩을 매치시킴
- Ctrl + Shift + C: 서식 복사
- Ctrl + Shift + V: 서식 붙여넣기
- 서식
- Ctrl = : 아래첨자
- Ctrl + Shift + + : 위첨자
PPT
- Alt + 숫자(빠른실행메뉴) : (ESC + Enter 로 글자색 변경에 사용)
Excel
- F2 : 선택한 셀 편집
- Ctrl + Pgup / Pgdn : sheet 이동
- Alt + F11 : VBA
- module에 아래 코드를 사용 상용구 넣을 수 있음
Sub InsertSentence1() ActiveCell.Value = "이 문장은 첫 번째 예문입니다." End Sub
- Alt + F8 : VBA로 저장한 상용구의 옵션에서 단축키 지정 가능
- 상용구를 위한 Add-in
- kutools, excel autotext, Excel Text Quick Insert
Gmail
- 대화선택 x
- 삭제 #
- 사이드바와 받은편지함 간 전환 Ctrl + Alt + , (Todoist 사용)
- 목록으로 돌아가기 u ( 또는 , + enter)
- 메일 검색 /
- 커서를 툴바로 ,
- 마지막작업 취소 z
- 편지쓰기
- 새편지 c (새탭에서 d)
- 답장 r
- 새창에서 답장 Shift + r
- (숨은)참조추가 Ctrl + Shift + c(b)
- 전달 f
IDLE
Jupyter lab
- tab view
- 우클릭 -> New view for notebook : 창 병렬 배치
- 우클릭 - > Show in file browser : 현재파일 경로로 이
- Cell manipulation
- SHIFT + M 두 개의 셀을 한개의 셀로 Merge 합니다.
- ESC & Enter 커맨드 모드로 진출입
- CTRL + SHIFT + – 현재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두 개의 셀로 구분합니다.
- SHIFT+J(K) or SHIFT + DOWN(UP) 아래(위)쪽 위치 셀 같이 선택
- M 은 Markdown 셀변환, Y 는 Code 셀변환, R 은 Raw 셀변환.
- CTRL + B : 왼쪽 파일 탐색기 접기
- A 는 위에 셀추가, B는 아래 셀추가, DD 는 셀삭제
- Coding
- SHIFT + L 라인넘버 표시
- CTRL + / : 주석처리
- Ctrl + ] : 커서위치한 곳에서 들여쓰기 (맨앞에서 Tab)
Rstudio (server)
- Edit
- [Ctrl] + [Shift] + J : 찾아 바꾸기
- [Ctrl] + [Shift] + A : 코드 정리(가독성 향상)
- [Ctrl] + [mouse Left] : Data 바로 보여줌
- [Ctrl] + [Shift] + R : section 추가
- [####] : 주석 뒤에 붙여서 직접 section 추가
- [Ctrl] + [Alt] + B : 현재 라인까지의 코드 실행
- Pane
- 이동
- [Ctrl] + [F11]/[F12] : source에서 tab 이동
- [Ctrl] + [Shift] + . : tab 선택해서 이동
- 선택
- [Ctrl] + [Alt] + [Shift] + [F11]/ [F12] : column 선택
- [Ctrl] + Num : 개별 pane & tab 선택
- file(5), plot(6), viewer(9), env(8)
- [Ctrl] + [Shift] + Num : 개별 pane & tab 선택 및 확장
- 이동
- Outline 관련
- 선택
- [Ctrl] + [Shift] + [O] : outline 열기
- [Shift] + [Alt] + [J] : 섹션 이동
- 접기/펴기
- [Alt] + [L] : 코드 섹션 접기
- [Shift] + [Alt] + [L] : 코드 섹션 펴기
- [Alt] + [O] : 모든 코드 섹션 접기
- [Shift] + [Alt] + [O] : 모든 코드 섹션 펴기
- 선택
- Qmd 관련
- [Ctrl] + [Shift] + K : render
CLI
우분투 터미널
터미널 단축키 ctrl alt T
그래픽카드 확인 nvidia-smi --query | fgrep 'Product Name'
초기설정하기 : https://cupjoo.tistory.com/1
VIM
- vi 파일경로 : vim 에디터 시작
- 사용 흐름 : 편집모드(i, a, o) -> 명령모드(esc) -> ex모드(:)
- i : 입력모드, 커서왼
- a : 커서오른
- A: 커서행 맨 뒤
- I : 커서행 맨 앞
- o: 커서 아래행
- O: 커서 윗행
- 복사, 삭제 및 되돌리기
- y : 복사
- yy: 커서를 포함하는 행 복사
- dd : 커서를 포함하는 행 잘라내기(클립보드에 저장)
- x:커서위치 삭제
- xx:커서 앞글자 삭제
- u: 되돌리기(undo)
- ESC : 일반모드
- del 키를 통한 삭제, 방향키, page키 사용한 이동
- / : 검색
- n : 다음 검색
- '':'' : ex모드
- w : 저장
- q : 종료
- wq : 저장 후 종료
- q! : 강제종료
- i : 입력모드, 커서왼
SSh
- 폴더
- pwd : 현재폴더
- cd ~/foldername : 하위폴더 이동
- ls 폴더 이름 보기
- ls -w :
- mkdir foldername : 현재디렉토리에 폴더생성
docker
- run (<옵션>) <이미지 식별자> (<명령어>) (<인자>)
- -d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함.
- -it : 컨테이너를종료하지 않은 상태로 터미널 입력을 컨테이너로 전달
- shell이나 CLI 도구 사용할 때 유용
- --name : ID 사용이 불편할 때
- -e : 환경변수 설정, Dockerfile의 ENV 설정도 덮어씌움
- -p : 포트 배포 / 바인드 위해 사용
- -v : 호스트와 컨테이너 볼륨 마운트
- 예시: docker run -v
pwd
:/etc python:3.8-alpine cat /etc/test.txt- 현재 디렉토리를 /etc에 마운트한 후 , 그 안의 test.txt 파일의 내용 출력
- 예시: docker run -v
- -w : Dockerfile 의 WORKDIR 설정 덮어씌움
- ps : ID 확인
- kill : 종료
- rm : 삭제
- exec : 특정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알아보거나 디버깅, 명령어 실행
- 참고: docker run 커맨드 사용법 | Engineering Blog by Dale Seo
Parsec
- 메뉴: ctrl + shift + m
- 모니터전환 : ctrl + shift + d
- 전체화면 : ctrl + shift + w
- 호스트 단축키 작동안하게 하기(immersive mode) : ctrl + shift + i
- 종료: ctrl + alt + `
- 클립보드는 default 설정으로 공유됨.
그 외 프로그램
Zotero
- Ctrl + Shift + C : 내보내기 설정 스타일로 복사
- Ctrl + PgUp/Down or Numkey: tab간 이동
- Ctrl + F -> shift TAB 2번 -> 우측화살표 3번 : identifier로 추가
- PDF
- 회전 : thumbnail 에서 마우스클릭사
- Alt + 1,2,3,4 : annotation 고르기
- ESC: deselect annotation
- Tab + Space : sidebar 열기/닫기
- S : text select mode (normal)
- H : hand mode
- Ctrl + Alt + G : go to page
- Ctrl+ G : Ctrl + F 로 찾은 키워드간 이
- Alt + Arrow : 이전 / 전후 이동 (참고문헌 리스트 왔다갔다 할때)
- Custom Shourtcut by Zutilo
- Pane
- Ctrl + H / J : pane 열기/닫기
- Tag
- Ctrl + T : add tag
- Crtl + R : remove tag
- Ctrl + D : deselect all tag
- Ctrl + S : focus tag searchbox
kb:keyboard shortcuts [Zotero Documentation]
- Pane
HWP
-
Shift + ESC , Enter : 표 밖으로 커서 꺼내기
-
Crtl + Enter: 쪽 나누기
-
스타일설정
Ctrl2~5 : 본문과 제목
Ctrl6~9: 표 본문과 제목
-
매크로 : Art + shift +3~9
-
3 - 본문 bullet point
공공한글
Alt + 화살표 : 표 안에서 이동
전체선택 : Ctrl + A 가 안먹힘, home end 이
Gimp
- 캔버스 크기 설정 : 650 x 650 을 정사각형으로 배치하려면 1300 x 1300으로 설정
- 캔버스 크기 조정이 필요하면 배경의 레이어 경계를 키운 후 -> 우클릭 -> 캔버스를 레이어 크기로를 선택
- 반대로 줄이려면 캔버스 크기 줄인 후 레이어를 캔버스 크기로 선택
- 그림 불러오거나, 클립보드로 붙여서 레이어 설정. (파일 - 만들기 - 클립보드에서 Shift Ctrl V)
- 크기조정 : 레이어크기조정 혹은 자르기(Shift C) : 650 x 650 으로 자르기
- 정렬 (Q) : 정렬의 기준이될 레이어는 창에서 선택하고, 정렬할 레이어는 클릭해서, offset으로 정렬 혹은 배치
- 텍스트
- T(텍스트 도구)
- 색 : 텍스트 작성 후 전체선택 후 바꾸기
- 크기 : 텍스트 전체선택 후 입력
- 자간 : alt +➡️
- 예시
- 텍스트 입력 (A)하고 전체선택해서 크기를 60으로 설정. 같은방법으로 (B), (C), (D) 입력
- 알파벳을 매기려는 해당이미지를 레이어창에서 선택하고, 텍스트를 정렬(Q)로 선택하여 off-set을 30,30으로 설정한 후, 활성레이어에 대하여 정렬 시
- T(텍스트 도구)
- 이동 : 레이어 이동이 안될때 이동의 탭에서 레이어/선택/경로 중에 레이어 선택
- 레이어
- 복사 (ctrl + c & v 후 떠있는 레이어 생성 상태)
- 새로운 레이어로 생성: ctrl + shift + N
- 복사 (ctrl + c & v 후 떠있는 레이어 생성 상태)
- 선 그리기(연필 /경로)
- 다른 레이어 위에 그려지므로, 원본레이어를 복제한 상태에서 복제 레이어 위에 그리자.
- N(연필도구) + shift(수직, 수평) or ctrl (15도씩 회전)
- B(경로도구) : 수평 맞추기 및 선그리기 2단계, 점선가능
- 수평 맞추기 - 마지막 경로 지점에서 ➡️ 사용
- ➡️+ Ctrl (더 많이) / Shift (많이) / alt (더 적게)
- 선 그리기 : 탭메뉴_경로 > 우클릭 + k
- 점선 및 선모양 선택 : Alt + L
- Alt + S (실행)
- 경로 복제 : 탭메뉴_경로 > 우클릭 + u
- 경로 이동: 생성 혹은 복제한 경로를 클릭해서 선택 후 ➡️
- ➡️+ Ctrl (더 많이) / Shift (많이) / alt (더 적게)
- 화살표 그리기 : 새로운 레이어로 그려짐
- 설정 : 6데이터/유틸 폴더의 arrow.scm을 gimp2/share/gimp/2.0/scripts 폴더에 넣는다
- 경로 도구로 두점을 찍는데, 화살표 머리를 먼저, 테일을 나중에 찍음
- 경로선택된 상태에서, 도구-> arrow 사용(Alt + T + ⬇️ + Enter 두 번)
- 속성예시 : wing length 를 10~13 / angle 30도 / brush thickness 3
- 수평 맞추기 - 마지막 경로 지점에서 ➡️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