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hropometric에 따른 평균 어깨관절볼륨 / 동결견 질병경과에 따른 볼륨변화 / manual capsule preserving HD 치료효과 / 주사후 초음파 평가에서 각 pouch의 distension 정도와 모양 차이(LBTS, RI, AR, SCB bursa와의 연결 여부)
각각 어느 관절낭에 대한 stretching exercise를 해야할지로 연결 가능?
SPADI 평가 추가
synovium 이 humeral head 위에서 뜨기 시작하는 지점이랑, 정량적으로 humeral head로부터 xx cm 상승하는 지점이라던지, 환자가 distension 되는 불편감을 호소하는 지점?
박철현교수와 토론 : 이용택 교수님은 syringe에 positive pressure가 걸리는 시점
다만 syringe 무게, 종류, 크기, 바늘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capsule 과 synovium
내부에 synovial cell lining이 같이 있고, synovium만으로 이루어진 파우치가 있음
HD preserving vs rupturing
rupture 부분이 어차피 제일 약한 synovium만 있는 곳이 될거라서 제일 두껍고 stiff한 capsule을 지속적으로 늘려주고 있는 preserving 방법이 좋을 것 같다.
김준성교수님 rupture 파 / 정선근 교수님 preserving 파
속도 : 빠르게 주면 10cc만 줘도 터지고, 천천히 주면 30cc줘도 안터지는 경우있음
바늘 삽입되는 지점
RI로 주입하면 posterior recess 보다 효과 좋다는 논문 많음. 이유?
무릎 HD의 경우
meniscotibial bursa에 약물이 도달하는 것?
모든 synovial recess에 볼륨이 도달하는 HD는 그래서 더 효과가 좋은 것 일수 있다. 이런 얘기도 했었음 몇 cc 이상 주사되는 시점부터 각 recess에 보이는지
frozen knee 혹은 inflammatory OA에서는 40cc 이상 주사하는 것도 방법
관절내 볼륨
정선근 교수님 논문 : The mean capsule-preserving intraarticular fluid volume during hydrodilatation in AC patients has been reported to be 25.1 ± 6.9 mL
MR arthro 사용 논문 : Ogul et al. 2018 found that the mean GHJ capacity in patient with AC was 22.52 cm3 versus 26.01 cm3 in the control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