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management
Title:
Knowledge managementType:
[[🔎Dataview/]] Tags:
#🗺️
MOC about task management
Todo, GTD, PKM, ADHD
Task management
Todo
- NLP 가 뛰어난 todoist를 활용
- Bryan 처럼 valut 안에 Z/todo 를 사용한다면 todoist 의 내용을 구체화 하는 데 사용가능
- 현재는 long term project에 대한 것만 To do; long term에 작성
- 비슷하게 반복되는 연간 업무는 AnnualTask에서 확인
Get things done
- 주간 점검을 하면서, 일, 주, 월, 연의 기록을 Get things done에 계속 작성 중.
- Daily note는 작성못하고 있음. calander plugin으로 관리 예정
- 점검은 1) 주변정리 등의 준비, 2) 이전 단위시간의 리뷰, 3) 평가와 조정으로 이루어짐
ADHD
- = ADHD 의대교수 Life management에는 ADHD 관리 측면에서의 PKM을 정리함.
- 추 후 ADHD에 대한 MOC 로 발전시킬 예정
- 발표 - 발표전 한번 리허설해보면 아이디어나옴. 콘서타사용도 효과좋음
Personal Knowledge Management, PKM
- 정보를 손실없이 수집, 빠르게 접근가능토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고도화된 지식으로 정제함.
- 과부하 정보를 필터링, 시간과 자원을 아낌 -> ADHD 보완
- 지속적인 지식의 습득을 가능케 함 -> 성장
- Second brain : 디지털 도구와 방법론을 활용한 PKM
- 생산성 전문가 티아고포르테가 단어를 사용
- PKM을 위한 아이디어의 노트는 @ Bryan의 방법을 차용하고 있음. Zettelkasten으로 제텔카스텐 정리시작
- 각 Input / development / output 에 해당하는 양식은 🏷️Tag Taxonomy 에 정리되어 있으며 Dataview vault 안 에서 모니터링 함.
- ✏️ Workbench에는 최근에 수정된 문서를 내림차순 정리하여 Tag나 Link 없이 전체 데이터 중에서의 최근 작업을 확인 함.
- 아이디어 와 노트의 발달과 구체화는 💳️ Kanban 을 통해서 확인. 생성날짜 오름차순으로 되어있어, 오랫동안 완성되지 않는 문서를 확인하기 쉽고 Tag를 사용한 체계로써 아래와 같음
#📝️ <=>All Notes
[#📝️/🌱️] <=>Seedling Notes
/ 아이디어
[#📝️/🌿️] <=>Fern Notes
/ 브레인스토밍 중
[#📝️/🌞️] <=>Incubating Notes
/ 0 draft 수준
[#📝️/🌲️] <=>Evergreen Notes
/ submission manuscript 수준
Goal of PKM
- 의학 지식의 축적, brain-storming 을 통한 idea의 발견, 확장 및 새로운 지식의 발굴
- 그리고 그 전 과정을 통한 output (교육, 발표, 논문)
교육: 견고한 정리 - input 늘리기 + 즉각적 output이 가능한 zettelkasten 사용
발표: 최신지견의 정리와 다양한 case 확보
논문: knowledge gap 의 인지 및 idea 의 확장, 참신한 이론과 가설 검증
CODE
- Capture, Organize, Distill. Express
- 정보의 수명 주기를 관리하기 위한 네 가지 단계
- Capture (수집)
- 유용한 모든 정보를 손실없이 한 곳에 수집하여, 가치있는 정보와 아이디어의 손실방지
- 현 시스템 : (@ Bryan의 방법 차용, obsidian 활용)
- template를 활용하여, 직강, 유튜브, 책, 기사, 사람으로 빠르게 분류하여 수집 - organize 단계를 도움
- 아이디어는 note로 inbox에 직접 적어 넣음
- Organize (정리)
- 수집 정보의 체계적 정리하여, 쉽게 검색하고 빠르게 접근 가능케 함
- 프로젝트. 주제. 카테고리. 태그 등으로 분류
- 현 시스템
- 체계 확인 : MOC (graph view)
- workflow 확인 : dataview
- MOC와 dataview를 tag taxonomy를 활용하여 재분류, 세부적인 분류를 가능케하고, 빠르게 접근가능토록 함
- DistiII (정제)
- 정보를 간결화하여, 정보의 이해도를 높이고, 빠르게 내용을 파악하고, output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
- 핵심으로 축약 혹은 중요한 부분만 발췌
- 현 시스템 :
- 논문 정보 정제 : zotero의 highlight & obsidian integration
- 아이디어 정제 : subheading, TOC 활용, callout을 두괄식 축약으로 활용하고 효과를 테스트해보자
- Express (표현)
- 정제된 정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output 창출
- 남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정보정리는 정보를 더욱 정제시키고 고급화 함.
- 현 시스템 : 논문은 출판, 논문 이외의 개인지식정리는 블로그
- 블로그 : R 및 quarto를 통한 blog output 작성, 추 후 개인 홈페이지에서 분리하여 개인 blog로 발행
- digital garden : 개인 블로그의 또다른 형태?
- 현 시스템 : 논문은 출판, 논문 이외의 개인지식정리는 블로그
PARA
- Projects, Areas, Resources, Archives
- CODE방법론의 Organize(정리) 단계의 세부방법론
- Projects (프로젝트)
- 논문 등 명확한 목표와 완료 시점을 가진 작업
- 각 프로젝트별 관리 - obsidian의 research management
- Areas (영역)
- 운동, 자산, 직장업무 등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해야 하는 개인의 책임이 있는 항목
- 각 영역별 정리, 주기적으로 점검과 업데이트 - todoist로 투두관리, obsidian의 자산, 직장업무 MOC
- Resources (자료)
- 참조논문, 독서 목록, 유용한웹 사이트 등 필요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정보
- zotero & tag taxonomy
- Archives (보관소)
- 종료 프로젝트 등 주기적 점검이 불필요해진 정보
- 과거 자료의 저장 및 다음 활용을 위한 접근성 확보 - obsidian outbox
Map of contents (MOC)
- 폴더보다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한 지식관리 방법
- PKM에서의 organize/PARA를 구현하고 빠르게 접근가능하게 함
- MOC는 그 자체로 분류 체계이므로 북마크의 그래프 뷰로 시각화하여 체계를 관리
- Dataview 는 input을 분류하고 output으로 완성된 지식을 관리
🔗LINKS TO THIS PAGE